-
- 애국계몽기 한시자료집
- 애국계몽기 한시자료집(이희목 편저 저) 시대정신을 발현한 마지막 한시漢詩 ''애국계몽기 한시자료집''은 1905~1910년 사이, 즉 愛國啓蒙期에 신문과 잡지에 수록되었던 한시 를 모아서 엮은 것이다. 이 시기에 이르면 문학이 근대적 면모를 보이면서 산문은 국한문國漢文 혼 용체를 사용하고, 운문 쪽에서도 국문시가가 대거 등장한다. 그러나 한시만큼은 지식인적 교양으로 서의 몫이 워낙 큰 비중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따라서 한시문학사에 서 이 시기는 가장 마지막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신문과 잡지에 수록된 한시는 대부분 신문의 독자이거나 애국계몽단체 회원의 신분을 가 진 사람들이 창작한 것이다. 간혹 양계초梁啓超를 비롯한 중국인과 일본인의 작품이 발견되고, 또 연암燕巖 박지원을 비롯한 선인들의 작품도 산견散見된다. 독자와 회원들의 투고가 본격화되기 전 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현상이다. 중요한 작가들을 보면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와 대한협회大韓協 會의 결성과 활동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장지연張志淵,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의 주필이었 던 신채호申采浩, 대한자강회에서 장지연과 함께 활동하였던 이기李沂, 역시 대한자강회와 대한협 회에서 활약한 신규식申圭植 등이 있다. 당대의 오피니언 리더라 할 만한 쟁쟁한 인물들이 모두 애 국계몽운동에 적극적이었고, 아울러 한시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민족주의적 애국사상을 표현하였 던 것이다. 위의 몇몇 인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투고자들은 신분이 잘 파악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체로 개화기를 거치면서 등장한 ‘새로운 형의 지식인’이었음에 틀림없다. 이들 역시 지식인적 교 양이었던 한시에 대해 깊은 소양을 갖추고 있었고, 대거 애국계몽운동에 가담하였던 만큼 한우충동 汗牛充棟의 작품들이 지어졌던 것이다. 시대정신에 걸맞은 새로운 문학담당층의 등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애국계몽기 한시자료집''의 의미는 우선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료를 한곳에 모아서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활자가 뭉개져서 잘 보이지 않는 부분과 활자가 없어서 한글로 메운 부분, 오자와 탈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을 모두 보충하고 바로잡았던 것 도 역시 작은 성과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바로잡거나 보충하지 못한 부분도 적지 않은 바 앞으로 감당해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23
-
- 근대어 근대매체 근대문학-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
- 근대어 근대매체 근대문학-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 (한기형 외 저) 근대문학의 기원을 탐색하는 연구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근대문학의 위상과 의미 는 각 시기 사회적 제 조건과의 끊임없는 교호과정 속에서 재조정되어 왔다. 문학을 문학이라고 표 현하는 방식의 변화는 없었지만 그 사회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질적 의미망은 여타 지식제도, 문 화사회제도, 정치상황과 맞물려 지속적 변주를 거듭했다. 이러한 정황을 고려할 때 근대문학은 ‘문 학이라는 체계’ 속에 갇힌 어떤 견고한 것이 아니라 근대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제와의 상호 연관 속 에서 만들어진 유동하는 실체가 아니었던가 생각한다. 따라서 근대문학이 자체의 본질적 속성으로 가지고 있던 다면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같은 정태적 이해방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근대문학과 근대문학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사회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속에서 문학의 위 치와 성격의 변화상을 섬세하게 재규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목차 1. ■ 책머리에 … 5 2. 3. 1부│‘자국어’의 발견과 근대어의 모색 11 국가와 언어, 근대 네이션과 그 재현 양식들 / 황호덕 13 근대계몽기의 번역론과 번역의 사상 / 정선태 43 중국 근대의 어문개혁운동과 신체 산문에 관한 고찰 / 김월회 67 5·4시기 ꡔ신조ꡕ 그룹의 백화문 연구 / 백지운 95 4. 2부│매체언어의 특질과 번역어 125 근대계몽기 한문현토소설의 존재방식 / 정환국 127 근대계몽기 역사전기물 번역에 대하여 / 정환국 151 근대계몽기 매체와 언어의 재현 / 류준필 183 번역과 근대 소설 문체의 발견 / 정선태 219 신체 산문과 근대적 매체의 상관성 / 김월회 243 5. 3부│매체의 담론과 문학의 담론 271 근대잡지와 근대문학 형성의 제도적 연관 / 한기형 273 최남선의 잡지 발간과 초기 근대문학의 재편 / 한기형 311 ꡔ학지광ꡕ과 그 주변 / 이경훈 351 청년과 민족―ꡔ학지광ꡕ의 담론적 특성 / 이경훈 399 매체로서의 근대소설과 내면의 서사 / 박헌호 435 식민지 시기 ‘자기의 서사’의 성격과 위상 / 박헌호 463 ■ 찾아보기 … 496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90
-
- 이건창 문학연구
- 이건창 문학연구(이희목 저) 이 책에서 탐구의 중심은 영재 이건창이 차지한다. 그는 한말사대가의 일원으로, 또 창강이 선정한 여한구가의 일원으로 시와 산문의 한문학의 가장 중요한 두 방면에 걸쳐 자신의 문학적 재능을 마 음껏 발휘했던 인물이다. 아울러 개항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중심을 올곧게 잡고 주체적 절 조를 견결하게 지켰던 인물이기도 하다. 인간적인 면모에서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매력을 지니고 있거니와 그의 문학적인 성취는 한마디로 탁월하다. 그의 문학은 바로 그의 정신세계를 제대로 비 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필자가 80년대 초부터 관심을 기울였던 문인이었던 바 영재의 문학에 대한 연구를 마무리 짓는 의미에서 이 책을 상재한다.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03
-
- 단성호적대장 연구
- 단성호적대장 연구 호적대장 연구팀 저 현존하는 단성현 호적대장으로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은 1606년의 호적대장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이것은 산음(山陰; 지금의 산청) 호적대장에 단성이 속현으로서 함께 붙어있으며, 역시 책자 로 현존하는 가장 빠른 시기의 호적대장이다. 그러나 이후의 호적대장은 독립적으로 작성되어 1678 년부터 1789년 사이의 책자는 단성향교가 소장하고 있다. 또한 19세기의 호적대장도 이들 자료와 함께 단성지역에 남아 있었으나 일제강점초기에 일본으로 넘어가 현재 토쿄(東京)에 있는 가쿠슈 인(學習院)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7·18세기 단성현 호적대장 자료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에서 영인하여 학계에 공개되어 호적대장 연구를 활성화시켰다. 19세기 호적대장은 학습원대학에 서 소개하고 마이크로필름으로 공개되었다. 대동문화연구원의 호적연구는 이러한 자료소개에 기초하여 [경상도단성현호적대장(慶尙道丹城縣 戶籍大帳)] 전량을 전산데이터베이스화하면서 시작되었다. 한국역사연구회 소속 조선시기 사회경 제사 연구자 16인이 대동문화연구원의 특별연구원으로 사업에 참여하여 1999년 봄부터 현존하는 [경상도단성현호적대장]의 전산데이터베이스화에 착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호적대장의 자료적 성격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갖게 되었던 것이다. 호적대장이 갖는 자료적 성격이 독특하다는 인식 과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을 달리해야할 필요성이 전산데이터베이스화를 시작하려 할 때부터 제기되었다. 전산화방안을 고안하기 위해서는 호적의 자료적 성격을 파악하는 작업이 동 시에 진행되어야 했다. 호적연구를 새로운 각도에서 시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자료의 전산데이터 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성호적에 대한 연구과정은 우선 2000년 12월에 ‘호적대장의 전산화와 사료적 성격’을 대주제로, 그리고 2001년6월에 ‘호적대장의 직역’을 대주제로 대동문화연구원과 한국역사연구회의 공동주최 로 발표되었다. 2001년 11월에 세 번째의 호적대장 연구발표회가 ‘호적대장의 戶’라는 대주제로 개 최되었으며, 2003년 4월에는 호적연구의 폭을 넓히는 의미에서 ‘호적대장에 나타나는 사람들’이라 는 주제로 네 번째의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발표되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과 그 동 안 개별적으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논문들 가운데 단성호적을 사용하여 연구한 논문들을 약간 의 수정을 거쳐 본 연구총서로 묶게 되었다.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98
-
- 정선 아라리
- 정선 아라리 김시업 저 은 한민족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대표하는 민요로서 세계성을 획득하며 전승·전파되고 있 다.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있는 한민족 동포에게 은 민족적·실존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노 래이며 나아가 한민족 최대과제인 남북 화합의 상징으로서 그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즉 은 한민족의 가슴에 애국가보다 더 넓고 깊은 감동을 주는 노래로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은 근대의 질곡을 넘으며 한민족 전체의 가슴 속으로 파고든다. 한정된 지역에서 지역적 공동체감을 확인하며 특정 지역에서만 전승되던 은 조선 후기 생산력의 발달, 농민분해 현상, 도시화, 상업·교류의 발달 등을 조건으로 부분적으로 전파되다 19세기 후반 경복궁 중건공사 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확산된다. 그리고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을 통해 결정적으로 한민족의 정 체성을 대표하게 된다. ‘정선아라리’는 다양한 모습으로 한민족의 입에 오르내리는 모든 의 근원이다. 그리고 이 ‘정선아라리’를 13년 동안 조사하고 20여 년간 정리한 결과가 『정선의 아라리』에 담겨 있다. 이 책에는 1982년부터 1987년까지 조사한 7천여 편에 달하는 가사가 실려 있다. 채록된 노래가 녹 음테이프 140개 분량, 노랫말을 옮겨 적은 카드는 1만여 장에 달한다. 총 70여 명의 조사인원이 참 여하고, 정선의 71개 부락 499명의 제보자를 조사하였다. 외부에 알려진 지역의 소리꾼의 소리뿐 만 아니라 삶의 숨결이 축적된 생활 현장의 노래가 가득하다. 이 책은 구비문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이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녹음 내용을 재생·정리하 여 판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들려주는 후속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764
-
- 박지원의 산문문학
- 박지원의 산문문학 김혈조 저 이 책은 연암 박지원 산문작품에 대한 연구서이다. 연암 산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당시의 시대상 과 사회적 특징을 드러내었고, 연암의 현실 인식이 사유양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그 내용으 로 다루고 있다. 또 그의 새로운 인식태도가 산문작품의 주제로 어떻게 구체화되고 실천되었는 지 와, 산문에 나타난 서사구조의 특징 및 형상화의 여러 특징까지 살펴보았다. 1.서론 2.연암의 현실인식 3.연암의 사유양식 4.연암 산문의 주제 5.연암 산문의 기법 6.맺음말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67
-
- 한국고전시가의 정체성
- 한국고전시가의 정체성 김학성 저 이 저술은 국문학이 단순히 세계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보편적 문학의 하나가 아니라 서 구와는 물론 판이하게 다르고 같은 동양문화권인 중국이나 일본과도 다른 우리 민족 고유의 문학이 라는 점을 밝혀내기 위해 정체성 문제를 탐구한 연구서이다. 그리하여 국문학 가운데서도 특히 고 전시가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 논의를 집중하고 고전시가의 다양한 부분에 고유성 문제를 해 명하고자 했다. 1. 연구시각과 율격 탐색 -고전시가 연구방법의 정체성 -한국시가 율격의 정체성 2. 고시가 장르별 탐색 -향가문학의 정체성 -악장문학의 정체성 -시조문학의 정체성 -가사및 잡가의 정체성 3. 구비문학과 학문자세 탐색 -구비문학의 민족미학적 정체성 -국문학도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941
-
- 한국민족예악과 시가문학
- 한국민족예악과 시가문학 이민홍 저 민족예악은 근대 이전 한민족의 민족주의를 뜻한다. 이 책은 외래시가를 참고 삼아 민족가곡을 발 전시킨 선인들의 구체적 시가인식을 밝힘으로써 미래에 전개될 민족시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다. 나아가 21세기에 한민족이 민족국가로 살아남기 위해서 전통 민족예악을 근간으로 ‘溫故而知 新’의 신념을 가져야 함을 역설한다. 1.예악과 시가의 접맥 2.국조 단군의 靈異事跡과 민족예약 3.고려조 국가축전 팔관회와 시가문학 4.려말조초의 악무정책과 蕃部樂 5.조선조 당맥과 시가문학 6.민족악무사의 전개와 대중가요 7.개항기 전통지식인 귤산 이유원의 현실대응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848
-
- 박지원 문학 연구
- 박지원 문학 연구 김명호 저 이 책은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의 생애와 문학 및 문학사상에 관한 저자의 연구 성과를 모아놓 은 것이다. 연구 초기부터 최근까지 발표한 논문을 모으고 연암과 관련하여 박규수를 논한 일부 연 구 성과를 덧붙였다. 연암의 한문소설을 [사기]열전에서 발원한 ‘傳 양식의 小說化’라는 시각에 서 재조명하였고, 연암 문학사상의 핵심이 ‘法古創新’에 있음을 밝혔으며, 동시대의 문인 유한준(兪 漢雋)과의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를 심화하였다. 또 [열하일기]의 사상적 문예적 탁월성을 해명하였고, 문체적 특색에 대해서도 정치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암의 문학사상을 ‘反朱子學’적 인 보는 통념을 재검토하고, 리얼리즘 문학론으로서의 현대적 의의를 적극 모색하였다. 필자 스스 로가 학계의 반향을 기대하였듯이, 문제 제기적 성격이 강한 논문들로 이루어진 책이다. 1. 연암 문학과 사기 2. 연암의 현실인식과 傳의 변모양상 3. 박지원과 유한준 4. 연행록의 전통과 열하일기 5. 열하일기의 문체에 대하여 6. 연암 문학사상의 성격 7. 실학파의 문학론과 근대 리얼리즘 8. 박지원-북학을 주창한 근대 리얼리즘의 선구자 9. 연암 산문의 계승자, 박규수 10.철종시대 박규수의 활동과 연암의 영향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746
-
- 최한기의 기철학과 서양과학
- 최한기의 기철학과 서양과학 이현구 저 이 책의 중심주제는 최한기의 사상체계를 통하여 조선 후기에 서양과학의 유입이 전통 철학에 어떠 한 영향을 주었으며, 전통 철학은 서양과학을 어떠한 논리로 수용하려 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에 있 다. 자료의 범위는 최한기의 인물 저술이 대부분이지만, 서구 자연과학 지식이 최한기의 철학 형성 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가, 또 전통 철학의 중요한 이론들이 서구 자연과학의 수용에 어떠한 기능 을 하였는가, 그리고 최한기의 경우를 통하여 자연과학과 철학의 관계문제에 대한 역사적 사례로서 의 연구이다. 1. 서론 2. 조선 실학자들의 서양과학 수용 3. 최한기의 서양 근대과학 이해 4. 최한기의 학문관과 ‘氣學’의 성립 5. 氣學의 이론 체계와 철학적 특성 6. 결론
-
- 작성일 2007-06-01
- 조회수 773